top of page
2015년 ~ 현재

"지난 20년간 아이메코가 걸어온 길"

2015년 ~ 현재

- X-MINI의 Low Latency기능 향상을 위한 고성능 Server / Switch / NIC등의 인프라 적용을 위한 검토 및 

  R&D수행.

- 리눅스 커널 및 NIC튜닝등에 대한 기술서비스를 위한 R&D수행.

- Metamako사의 고성능 스위치인 Metamux / Metaconnect 및 방화벽제품인 Metaprotect를 수입하여

 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하고 기술지원 제공.

- 호주의 HPC전문업체인 XENON사의 HFT서버 및 관련제품을 수입하여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하고

  기술지원 제공.

- Spectracom사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고성능 시간관리를 제공하는 시각동기화 서버인 VelaSync

  제품을 국내 증권사에 공급하고 기술지원 제공.

- Arista의 Metamako 인수에 따라, 관련제품(Arista 7130 Series)의 총판사 및 기타 Line-up의 금융섹터 

  리셀러로 선정.

- 회원사 및 HFT고객을 위한 Latency 분석 솔루션인 X-MINI-WTW 개발 및 공급.

- 회원사의 시장조성업무인 LP(Liquidity Provider)업무의 의무호가 주문과 헷지주문에 대한 초고속 자동화    솔루션인 X-TDR-LP 개발 및 공급.

- 은행과 증권사의 신탁 계약 수행을 위해 은행의 ETF주문 및 상품관리를 위한 증권사 신탁시스템인

   X-TRD-TB 개발 및 공급.

2010년 ~ 2014년

2010년 ~ 2014년

- 해외 고객등의 고빈도매매(High Frequency Trading)에 따른 회원사의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실시간으로  

  계좌별 유효성(Valid) 및 증거금(Margin) 체크하는 솔루션인 X-MINI 개발.

- KRX를 이용하는 고빈도매매(High Frequency Trading) 고객의 주문을 관리하는 대다수의 회원사에

  X-MINI 공급 및 유지보수 지원.

- 글로벌 표준 프로토콜인 FIX를 이용한 주문처리 솔루션 개발 및 공급.

- 인도네시아 증권사에 IDX(인도네시아거래소) 접속을 위한 대외접속솔루션인 X-NINS-IDX 공급.

- 한국거래소 차세대시스템(EXTURE+) 가동에 따른 각 회원사의 대외계 시스템 고도화 작업 수행.

2005년 ~ 2009년

2005년 ~ 2009년

- 업계 최초로 SHM(Shared Memory)기반의 듀얼 액티브 아키텍쳐 방식의 KRX 및 증권유관기관과의

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원사용 대외접속계솔루션인 X-MINS 개발.

- 회원사의 레가시 시스템과의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미들웨어 솔루션인 X-AGT 및 모니터링 솔루션인     X-MON 개발.- 차세대 대외접속계 세미나인 ‘Next Gen FEP Solution Seminar’ IBM과 공동 개최.

- 회원사 차세대 프로젝트중 대외접속계 분야에서 약 90%의 회원사에 해당솔루션 공급.

- IMB INOVATION FORUM 2007에서 성공 발표사례로 선정.

- 2008 Exellent Independent Solution Vender로 선정.

- 기존의 회원사가 대외접속계용 시스템으로 사용하던 메인프레임등 에서 유닉스로 다운사이징 프로젝트    다수 수행.- 금융결제원 및 은행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소액결제 솔루션인 X-MINS-BK 개발 및 공급.

2000년 ~ 2004년

2000년 ~ 2004년

- 증권사 최초의 사내밴처 주식회사 스톡월드 설립.
- 국내 최초로 실시간 모의투자 사이트 오픈 및 모의투자대회 운영.
- 회원사의 파생상품 딜러의 초단타매매(scalping)를 위한 파생상품 주문솔루션 X-TRD-FR 개발 및 공급.
- 회원사의 파생상품 위탁고객의 초단타매매(scalping)를 위한 파생상품 전용 HTS 솔루션 개발 및 공급.
- 중소기업청으로부터 “차세대 차익거래시스템 연구 개발 과제” 수행자로 선정.

- 회원사의 법인영업부서를 위한 바스켓주문을 포함한 차익거래(arbitrage trading)용 주문솔루션인

   X-TDR-AR 개발 및 공급.

- 기술보증기금으로 부터 벤처기업 인증.- 중소기업청으로 부터 이노비즈기업 인증.

bottom of page